2024. 3. 24. 13:04ㆍ정보 보안/취약점
정의
인증이 필요한 모든 페이지에 대해 비인가자가 하위 URL에 직접 접근, 스크립트 조작 등의 방법으로 중요한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취약점을 의미한다.
공격 시나리오
인증이 필요한 웹 사이트의 중요 페이지에 대한 접근 제어가 미흡할 경우 하위 URL에 직접 접근, 스크립트 조작 등의 방법으로 중요한 페이지에 대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.
대응 방안
- 인증이 필요한 페이지의 경우 페이지별 권한 체크 로직 구현
판단 기준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
- 양호 : 인증 후에 접근해야 하는 웹 사이트의 하위 URL을 로그인하지 않고 직접 접근할 때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
- 취약 : 웹 사이트의 하위 URL을 로그인하지 않고 직접 접근할 때 접근이 가능한 경우
점검 예시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
- 업무프로세스 파악
- 권한 종류 및 범위 파악
- 페이지의 모든 기능을 수집하여 프로세스 상에 통제된 페이지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
전자금융기반시설
- 인증 절차 후 접근이 가능한 페이지의 URL을 수집하여 인증절차 없이 접근 시도, 클라이언트 스크립트를 통한 접근 제어 시 해당 스크립트를 삭제하여 인증 없이 해당 페이지에 접근 가능 여부 점검
- 플로우 통제 우회 가능 여부 점검
* 플로우 통제 : 이용자 인증 시 단계별 인증을 통해 하는 경우 전 단계의 요건을 갖춰야 다음 단계로 진입하도록 된 구조
Ex) step 1. 연락처 작성 > step 2. 주소 작성 > step 3. 개인정보 작성 > step 4. 완료
구체적 보안 설정 방법
1. 우회될 수 있는 플로우를 차단하여야 하며, 페이지별 권한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페이지에 부여된 권한의 타당성을 체크한 후 권한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전 페이지에서 권한 체크가 이뤄지도록 구현해야 한다.
2. 인증이 필요한 모든 페이지에 대해 유효한 세션임을 확인하는 프로세스 및 주요 정보 페이지에 접근 요청자의 권한 검증 로직을 적용해야 한다.
3. 유효한 세션의 검증 및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은 Server Side Script로 구현된 프로세스를 사용하도록 한다.(Client Side Script로 구현하게 되면 공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있어 우회의 가능성이 존재한다.)
'정보 보안 > 취약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취약점] 파일 다운로드 (0) | 2024.03.25 |
---|---|
[취약점] 파일 업로드 (0) | 2024.03.24 |
[취약점] 자동화 공격 (0) | 2024.03.24 |
[취약점] 세션 고정 (0) | 2024.03.24 |
[취약점] 불충분한 세션 만료 (0) | 2024.03.23 |